카테고리 없음

비트코인 온체인 사이클 지표는 약세, 근데 강세 가능성은 여전?

옐로우맹고 2025. 3. 26. 18:24

 

제가 작성하고 있는 매매일지 입니다.

 

제가 매매할 때 작성하고, 궁금하신 부분들 질의응답 형태로 진행하고 있어서, 편하게 오셔서 놀다 가세요 :D

 

http://t.me/YTA_ACADEMY

 

[ YTA ] Y의 트레이딩 아카데미

You can view and join @YTA_ACADEMY right away.

t.me


 

최근 비트코인 시장은 단기적인 조정을 거치며 투자자들의 심리가 흔들리고 있습니다.

 

특히 여러 온체인 사이클 지표들이 중기적으로는 약세 흐름을 나타내고 있어, 시장 분위기가 완전히 낙관적이지는 않은 상황입니다.

 

하지만 중요한 점은, 이러한 조정이 온체인 과열의 결과가 아니라는 것이며, 오히려 외부 거시경제적 요인에 기인한 일시적 흔들림일 수 있다는 점입니다.


# 주요 온체인 지표 분석 = 약세 흐름, 그러나 정점은 아님

 

현재 비트코인의 주요 온체인 지표들 (4가지)

 

IFP (Inflows/Price Ratio)

CQ 강세·약세 사이클 지표

 

MVRV (Market Value to Realized Value)

NUPL (Net Unrealized Profit/Loss)

 

이 네 가지 지표는 모두 중기적인 약세 흐름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지표들이 과열에 도달하지 않았다는 점

→ 이는 시장이 아직 사이클의 정점이 아니라는 의미로, 향후 추가적인 상승 여지가 남아 있음을 보여줍니다.

 

즉, 현재는 "고점에서 꺾인 하락"이 아니라, "상승 중 일시적인 눌림"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거시경제 요인: 트럼프 정책과 글로벌 불확실성

 

현재 시장의 조정은 온체인 지표 때문이라기보다는, 거시경제 이슈에서 비롯된 외부 충격이 더 큰 원인입니다.

 

특히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발언, 그리고 그에 따라 유입된 시장 불확실성 확대는 비트코인을 비롯한 위험자산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일시적으로 미쳤습니다.

 

 

이는 과거 2024년 8월 5일 앤캐리 트레이드 위기 당시와 비슷한 흐름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당시에도 거시적 리스크 요인이 비트코인에 조정을 유발했지만, 위기가 정리되자 다시 빠르게 회복 흐름을 보였던 전례가 있습니다.

 

# 전망: 거시적 요인 해소 시 강한 회복 가능성

 

현재의 온체인 사이클 지표들은 단기적인 약세 신호를 보여주지만, 사이클 정점에 도달했다는 판단을 내리기엔 이릅니다.

 

따라서 트레이더 및 투자자들은 다음과 같은 시나리오를 염두에 둘 필요가 있습니다.

 

거시경제 불확실성이 해소된다면?

→ 비트코인은 빠르게 반등할 가능성 up

 

온체인 지표는 아직 과열이 아님

  추가 상승 여력은 여전히 존재

 

조정은 건강한 사이클 일부일 수 있음

  오히려 추세 재진입의 기회가 될 수 있음


# 마무리

비트코인 시장은 온체인 지표상으로 중기 약세 흐름을 보이고 있지만, 이는 사이클 고점이 아닌, 거시경제 불안정성에 따른 일시적 조정일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지금이 '끝'이 아니라 '과정'이라는 점입니다.

 

트레이더들은 단기적인 지표 변화에 휘둘리기보다는, 거시 흐름과 온체인 데이터를 함께 종합적으로 분석하며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